✍🏻 커리어와 취업이야기를 공유해봐요
PM, 서비스 기획 직무의 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중요한 것
취업 및 이직을 준비하며 포트폴리오란 도대체 어떻게 준비하는 것인지, 어떤 방향으로 만들어야 하는지 고민이 될 때 방향성에 참고가 되었으면 하여 글을 공유드립니다.
서비스 기획 및 PM의 포트폴리오는 프로젝트나 경험에 있어서 단순히 나열하기보다 프로젝트 진행 과정을 체계적으로 작성하는 게 중요합니다.
제가 작성했던 사례를 간략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포트폴리오를 '배경, 문제정의, 해결 방안, 결과물, 프로젝트 결과 & 회고' 5단계로 나누어 작성하였습니다.
가장 먼저 '배경과 문제 정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 상황과 구체적인 원인을 표현하려 했습니다.
그래서 현 상황과 해결되지 않았을 경우 예상되는 위험을 함께 정리하여 프로젝트의 Why와 필요성에 대해 나타내려 하였습니다.
'해결 방안'은 문제에 있어서 저 자신이나 저희 팀이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했는지를 나타내려 했습니다.
어떤 개선 아이디어 또는 기획을 진행했는지, 나의 해결 방안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지, 그리고 그에 따른 기대효과는 어떻게 되는지 상세히 기술하였습니다.
'결과물'은 해결 방안이 실제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기술했고 처음 저의 기획과 달라졌다면 어떤 사유 때문인지 문제는 무엇이었는지 설명했습니다.
'프로젝트 결과'는 말 그대로 어떤 효과를 가져왔는지 지표적으로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힘든 성과라면 어떤 PM 또는 서비스 기획 직무에 도움이 되는 역량을 성과로 기술하였습니다.
또한, 회고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느낀 한계점과 앞으로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함께 정리했습니다.
포트폴리오에서 중요한 것은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단순히 수행한 프로젝트를 나열하기보다
어떤 방식으로 접근했고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그리고 어떻게 생각하고 느꼈는지를 가시적으로 표현 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취직 및 이직에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서비스 기획 및 PM의 포트폴리오는 프로젝트나 경험에 있어서 단순히 나열하기보다 프로젝트 진행 과정을 체계적으로 작성하는 게 중요합니다.
제가 작성했던 사례를 간략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포트폴리오를 '배경, 문제정의, 해결 방안, 결과물, 프로젝트 결과 & 회고' 5단계로 나누어 작성하였습니다.
가장 먼저 '배경과 문제 정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 상황과 구체적인 원인을 표현하려 했습니다.
그래서 현 상황과 해결되지 않았을 경우 예상되는 위험을 함께 정리하여 프로젝트의 Why와 필요성에 대해 나타내려 하였습니다.
'해결 방안'은 문제에 있어서 저 자신이나 저희 팀이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했는지를 나타내려 했습니다.
어떤 개선 아이디어 또는 기획을 진행했는지, 나의 해결 방안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지, 그리고 그에 따른 기대효과는 어떻게 되는지 상세히 기술하였습니다.
'결과물'은 해결 방안이 실제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기술했고 처음 저의 기획과 달라졌다면 어떤 사유 때문인지 문제는 무엇이었는지 설명했습니다.
'프로젝트 결과'는 말 그대로 어떤 효과를 가져왔는지 지표적으로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힘든 성과라면 어떤 PM 또는 서비스 기획 직무에 도움이 되는 역량을 성과로 기술하였습니다.
또한, 회고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느낀 한계점과 앞으로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함께 정리했습니다.
포트폴리오에서 중요한 것은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단순히 수행한 프로젝트를 나열하기보다
어떤 방식으로 접근했고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그리고 어떻게 생각하고 느꼈는지를 가시적으로 표현 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취직 및 이직에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게시판의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비매너, 욕설, 광고 등)은 임의 삭제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결과까지 적는 포트폴리오는 그래도 좀 본 것 같은데, 회고를 적어 한계점과 극복 계획까지 적는건 매우 좋은 포인트 같네요. 본인의 프로젝트를 객관화해서 볼 수 있는 시각과 함께 성장성도 함께 표현할 수 있는 부분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