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채널
Kakaotalk
12/9
유튜브 채널
Kakaotalk
12/9
유튜브 채널
Kakaotalk
12/9
previous arrow
next arrow

✍🏻 커리어와 취업이야기를 공유해봐요

면접에서 단점 이야기 할 때 극복한 과정 이야기하지 마세요

많은 분들이 단점 이야기 할 때 극복한 과정을 말해버립니다. 면접 컨설팅이나 유튜브에서 단점 말하기 - 극복한 과정 이야기 하기같은 과정으로 알려주기 때문인 것 같은데, 극복한 과정을 말하면 안됩니다. 그러면 극복된 단점이 되어 버린거죠.
'
이렇게 극복된 단점을 '단점말하기' 질문에 대답을 해버리면 면접관은 첫번째로 진실성을 의심하게 되고, 두번째로는 '내 질문의 요지를 잘 모르는가'싶어 커뮤니케이션 역량까지 의심하게 됩니다.

극복된 단점은 더이상 단점이 아니기 때문이죠. 단점을 파악한 다는 것은 장점을 파악하는 것만큼 중요한 문제입니다. 회사라는 조직안에서는 본인의 단점을 파악하여 해당 부분에 대해서 다른 팀원들과 협업을 통해 상황을 해결하거나, 혹은 시간을 가지고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우수인재로 거듭나는 것이 신입에겐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단점을 말할 때는 꼭 그 단점 때문에 일어난 업무적 문제점을 같이 얘기하고, 여기에서 본인이 타인과의 협업을 통해 해결한 경험과 이를 바탕으로 현재 어떻게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가를 설명하는 것이죠.

여기에서의 요점은 극복한 과정이 아니라, 현재 노력하고 있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고객과의 미팅에 있어 고객이 불참하는 사태가 벌어진 것을 고객 탓으로만 돌리지 않고, 리마인더 메일을 보내지 않은 자신의 꼼꼼함 부족이라고 생각을 하며, 이 단점을 고치기 위해 구글 캘린더에 고객과의 미팅약속 뿐만 아니라 미팅 이틀 전에도 표시를 해서 항상 리마인더 메일을 보내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하는 등 이런 식으로 어떤 잘못된 결과가 발생했을 때 본인에게 문제를 찾아보고 해당 문제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본인의 행동 변화를 통해 단점을 극복하려 노력중이라는 얘기를 하는 거죠.

중요한 것은 꼼꼼하지 못한 단점을 발견한 뒤에, 캘린더를 통해 단점을 극복했다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캘린더에 사전에 리마인더를 적어 놓는 등 현재 노력중이다 라고 말하는 것이죠. 꼼꼼하지 못한 단점이 한 두개의 행동변화로 쉽게 극복된다고 설명해서는 안됩니다. 하나의 해결방법을 찾은 것이고, 또 계속해서 이렇게 찾아가겠다라는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죠. 쉽게 극복되는 단점은 진정한 단점이 아니죠. 진정성 있는 단점과 그 단점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 사례, 그리고 그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구체적으로 적어준다면 진정성 있는 답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페인 페인 · 2023-09-23 23:20 · 조회 380 · 면접준비
전체 0

⛔️ 게시판의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비매너, 욕설, 광고 등)은 임의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오늘 핫한 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