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maxWAPL 소개
Tmax 그룹은 1997년 설립 후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국내의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회사입니다. DBMS, Cloud, OS, Middleware 등의 System Platform 기술과 Office, AI, Big Data, Metaverse 등의 App Platform 기술을 바탕으로 모든 주체가 IT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고 앱을 개발할 수 있는 SuperApp 생태계를 만들고 있습니다.
WAPL은 ‘Work And Play’의 약자로 SuperApp Platform에서 Communication과 Community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B2C 영역에서는 Talk Service와 Social Networking Service 사업을 수행하고 있고, B2B 영역에서는 SaaS 형태의 협업툴 운영부터 기업의 통합 업무시스템 구축까지 협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WAPL은 SuperApp Platform의 통합을 담당하는 Foundation App과 Talk, Calendar, Mail, 게시판 등의 Communication App 제작에 대한 원천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 Foundation App의 대표 기술은 CMS(Client Messaging Service)입니다. CMS는 특정한 메시지를 받아야 하는 사용자들을 판별해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미션을 수행합니다. 모든 애플리케이션은 CMS로 메시지 전달을 위임하는데, 이를 통해 대규모 트래픽이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빠르게 전달할 수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커뮤니케이션 모듈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 담당 업무
1. 제품 기능 Test Case 도출 (30%)
WAPL사에서 개발하는 모든 제품에 대한 Test Case 도출을 진행 합니다. 기본적으로 기획서/정책서 등을 기준으로 단위 기능/연계 기능 등의 Case를 도출하며 비기능 Test Case에 대한 도출도 포함 됩니다. 구체적인 업무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QA Test Case 도출 (기본 기능)
- Communication App : messenger/mail/calendar 등 SuperApp 협업 기준 앱 Case 도출 (WEB/MOBILE)
- Foundation App : CMS, Room, Shell, App Store 등 SuperApp의 기반 앱 Case 도출
- 각 모듈간 연계 검토 및 연관 Test Case 도출 (연계 기능)
- 각 협업 기준 앱간의 연계 Case 도출
- 각 기반앱 기준 내부 기능 흐름 Case 도출
- Test Case 도출간 사용성 관점 검토를 통해 개선 Point 도출
- 도출된 Test Case 기준 연구소/기획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Test Case 상세화 진행
2. 제품 기능 검증 수행 (70%)
WAPL사에서 개발하는 모든 제품에 대한 기능 검증 업무를 수행 합니다. 해당 업무에는 UI적인 검증이 기본이 되지만, 내부 로직(로그 등..) / 데이터 정합성(DB Check) 등 모든 일련의 제품 기능 흐름간 검증이 동반 됩니다. 구체적인 업무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QA Test를 위한 독립적인 QA 테스트 환경 구성 진행 (Cloud 기반 환경)
- K8s 기반의 Cloud 환경 구성 (WEB/WAS/DB 구조 포함)
- 내부 QA 테스트 환경 관리 (다양한 버전/프로젝트별 QA 환경 별도 관리)
- 도출된 Test Case 기준 QA 기능 검증 진행
- WEB/MOBILE 별도 Test 진행 및 이슈 관리
- UI Test / 내부 기능 흐름 Check / DB Data 정합성 Check 진행
- 테스트 결과에 대한 연구소 공유 및 개선 일정 협의
- 내부 기능 부하 테스트를 통한 DB 튜닝 등 검토 Point 도출
- API 기준 단위 부하 테스트 진행 및 개선 필요 API들에 대한 연구소 커뮤니케이션 및 개선 버전 Check 진행
- 연계 기능 시나리오 등을 통한 부하 테스트 진행
- 연구소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기능 개선 / 안정화 작업 진행
- QA 기준 프리징 버전에 대한 운영/PS팀과의 유기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원활한 배포 진행
✔ 필수 요건
1. 역량
- AWS, Google Cloud 등 Cloud 환경 에서의 QA 진행 경험자 (k8s 등 Cloud 기술 보유 포함)
- QA 진행 프로세스 경험자
-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설계 능력
- 이해관계자를 설득할 수 있는 역량
- 타 서비스에 대한 빠른 벤치마크 능력
2. 경력
- S/W QA 조직 경험 (2년 이상)
- 성능/자동화 테스트 경험자
- Cloud 환경에 대한 직접 관리 등의 경험자
- QA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도와 개선 경험자
- 테스트 시나리오 기획/작성 및 진행 관리 경험자
3. 기타 필수 요건
-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 IT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력을 갖추신 분
- 자기주도적 QA 진행 경험이 있으신 분
- 통계적인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신 분
- 4년제 정규대학 졸업자
- 해외여행에 결격 사유가 없으신 분
✔ 우대 요건
- 장애인 및 보훈 대상자
✔ 전형 절차
서류 전형 → 1차 면접 → 2차 면접 → 처우 및 입사일 협의 → 최종합격
※ 면접 일정은 대상자에 한해 안내하며, 전형 결과는 모든 지원자에게 안내될 예정입니다.
※ 진행에 따라 추가적인 전형 절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지원자 유의사항
- 입사 후 수습 기간 3개월 적용됩니다.
- 지원서 내용 중 허위 사실이 있는 경우에는 합격 및 입사 취소될 수 있습니다.
✔ TmaxWAPL 소개
Tmax 그룹은 1997년 설립 후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국내의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회사입니다. DBMS, Cloud, OS, Middleware 등의 System Platform 기술과 Office, AI, Big Data, Metaverse 등의 App Platform 기술을 바탕으로 모든 주체가 IT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고 앱을 개발할 수 있는 SuperApp 생태계를 만들고 있습니다.
WAPL은 ‘Work And Play’의 약자로 SuperApp Platform에서 Communication과 Community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B2C 영역에서는 Talk Service와 Social Networking Service 사업을 수행하고 있고, B2B 영역에서는 SaaS 형태의 협업툴 운영부터 기업의 통합 업무시스템 구축까지 협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WAPL은 SuperApp Platform의 통합을 담당하는 Foundation App과 Talk, Calendar, Mail, 게시판 등의 Communication App 제작에 대한 원천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 Foundation App의 대표 기술은 CMS(Client Messaging Service)입니다. CMS는 특정한 메시지를 받아야 하는 사용자들을 판별해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미션을 수행합니다. 모든 애플리케이션은 CMS로 메시지 전달을 위임하는데, 이를 통해 대규모 트래픽이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빠르게 전달할 수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커뮤니케이션 모듈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 담당 업무
1. 제품 기능 Test Case 도출 (30%)
WAPL사에서 개발하는 모든 제품에 대한 Test Case 도출을 진행 합니다. 기본적으로 기획서/정책서 등을 기준으로 단위 기능/연계 기능 등의 Case를 도출하며 비기능 Test Case에 대한 도출도 포함 됩니다. 구체적인 업무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QA Test Case 도출 (기본 기능)
- Communication App : messenger/mail/calendar 등 SuperApp 협업 기준 앱 Case 도출 (WEB/MOBILE)
- Foundation App : CMS, Room, Shell, App Store 등 SuperApp의 기반 앱 Case 도출
- 각 모듈간 연계 검토 및 연관 Test Case 도출 (연계 기능)
- 각 협업 기준 앱간의 연계 Case 도출
- 각 기반앱 기준 내부 기능 흐름 Case 도출
- Test Case 도출간 사용성 관점 검토를 통해 개선 Point 도출
- 도출된 Test Case 기준 연구소/기획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Test Case 상세화 진행
2. 제품 기능 검증 수행 (70%)
WAPL사에서 개발하는 모든 제품에 대한 기능 검증 업무를 수행 합니다. 해당 업무에는 UI적인 검증이 기본이 되지만, 내부 로직(로그 등..) / 데이터 정합성(DB Check) 등 모든 일련의 제품 기능 흐름간 검증이 동반 됩니다. 구체적인 업무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QA Test를 위한 독립적인 QA 테스트 환경 구성 진행 (Cloud 기반 환경)
- K8s 기반의 Cloud 환경 구성 (WEB/WAS/DB 구조 포함)
- 내부 QA 테스트 환경 관리 (다양한 버전/프로젝트별 QA 환경 별도 관리)
- 도출된 Test Case 기준 QA 기능 검증 진행
- WEB/MOBILE 별도 Test 진행 및 이슈 관리
- UI Test / 내부 기능 흐름 Check / DB Data 정합성 Check 진행
- 테스트 결과에 대한 연구소 공유 및 개선 일정 협의
- 내부 기능 부하 테스트를 통한 DB 튜닝 등 검토 Point 도출
- API 기준 단위 부하 테스트 진행 및 개선 필요 API들에 대한 연구소 커뮤니케이션 및 개선 버전 Check 진행
- 연계 기능 시나리오 등을 통한 부하 테스트 진행
- 연구소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기능 개선 / 안정화 작업 진행
- QA 기준 프리징 버전에 대한 운영/PS팀과의 유기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원활한 배포 진행
✔ 필수 요건
1. 역량
- AWS, Google Cloud 등 Cloud 환경 에서의 QA 진행 경험자 (k8s 등 Cloud 기술 보유 포함)
- QA 진행 프로세스 경험자
-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설계 능력
- 이해관계자를 설득할 수 있는 역량
- 타 서비스에 대한 빠른 벤치마크 능력
2. 경력
- S/W QA 조직 경험 (2년 이상)
- 성능/자동화 테스트 경험자
- Cloud 환경에 대한 직접 관리 등의 경험자
- QA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도와 개선 경험자
- 테스트 시나리오 기획/작성 및 진행 관리 경험자
3. 기타 필수 요건
-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 IT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력을 갖추신 분
- 자기주도적 QA 진행 경험이 있으신 분
- 통계적인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신 분
- 4년제 정규대학 졸업자
- 해외여행에 결격 사유가 없으신 분
✔ 우대 요건
- 장애인 및 보훈 대상자
✔ 전형 절차
서류 전형 → 1차 면접 → 2차 면접 → 처우 및 입사일 협의 → 최종합격
※ 면접 일정은 대상자에 한해 안내하며, 전형 결과는 모든 지원자에게 안내될 예정입니다.
※ 진행에 따라 추가적인 전형 절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지원자 유의사항
- 입사 후 수습 기간 3개월 적용됩니다.
- 지원서 내용 중 허위 사실이 있는 경우에는 합격 및 입사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오늘 핫한 공고
제목 | 작성일 |
---|---|
신입 면접에서 자기소개할 때 내용도 내용이지만 첫인상에 꼭 신경써 주세요
|
2023.12.04 |
취준생이 꼭 해야 하는 역량정리
|
2023.12.03 |
스타트업 취업이 대기업보다 나은 단 한가지
|
2023.12.03 |
공백기간을 설명할 수 있는 이유가 없다면 어학시험 준비라고 말하세요
|
2023.12.01 |
자소서에 성공 경험 적을 때 가장 쓰기 좋은 스토리라인
|
00:08 |
기업 사정으로 조기 마감되거나 내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