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증권 소속
정규직
합류하게 될 팀에 대해 알려드려요
- Server Developer (Platform)는 서버 플랫폼팀과 시세팀에 속해 업무해요.
- 토스는 보통 작은 feature 단위의 사일로 조직으로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들이 소규모로 모여 서비스 제품이 만들어지는데요, 서버 플랫폼팀은 이런 사일로 조직들에서 필요로 하는 공통 기능들,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팀이에요. 서버 플랫폼팀의 올해 목표는 증권 서비스들이 더 쉽고 빠르게 런칭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요, 앞으로도 많은 서비스들을 확장해 나가려고 해요.
- 시세팀은 국내주식과 해외주식의 시세 제공과 대외접속(FEP) 등 증권서비스에 필요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팀입니다. 시세팀의 올해 목표는 최적화된 초고효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인데요. 앞으로 토스증권의 개발자가 가장 오고 싶어하는 팀이 되어보려 해요.
- 두 팀은 사일로 조직과는 다르게 기획자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팀에 소속된 엔지니어들이 곧 기획자이자 개발자인데요, 어떤 기능들이 필요할지 직접 고민하고 의견을 수집해서 방향성을 정하고 만들어 나가고 있어요.
합류하면 함께할 업무예요
- 다른 개발자들이 불편한 것들을 모아서 공통화하고, 요구사항을 모아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여러 영역에 걸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 토스 증권에서는 서버 개발 환경으로 Java/Kotlin, Spring Framework를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따라서 관련된 작업들을 많이 하게 되는데요,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개발 방식 중에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을 찾아 선택하고 공통화시키는 작업을 해요.
- 또한, 전체적인 관점에서 좋은 아키텍처에 대한 고민을 하고 개선해 나가는 작업을 하는데요. 배포하기 쉬운 구조, 운영하기 쉬운 구조, 안정성을 위한 구조, 성능 개선을 위한 구조에 대해서 고민하고 실행에 옮겨요.
이런 분과 함께하고 싶어요
- Java/Kotlin, Spring Framework에 능숙하신 분이면 좋아요.
- Redis, Kafka, ELK 스택 운영경험까지 있으면 더 좋아요.
- Spring Framework, Tomcat, JVM, OS, 네트워크, 인프라 등 다양한 레이어에서의 트러블 슈팅 경험, 그를 위한 모니터링과 나아가서 성능 튜닝 경험도 가지고 있다면 더 좋아요.
- 실시간 데이터 처리,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는 분이면 더 좋아요.
-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서비스와 인프라 환경을 꾸준히 발전시키려는 분과 함께 하고 싶어요.
이력서는 이렇게 작성하시는 걸 추천해요
- 경험들을 단순히 나열하기 보다는 경험 속에서 얻은 배움들을 확인하고 싶어요. 특히 서비스장애 경험이나 어려웠던 일들에 대해서 더 듣고 싶은데요, 어떻게 해결하고 어떤 배움을 얻었는지 알려주시면 좋아요.
- 플랫폼적인 업무(공통 서비스, 공통 라이브러리 등)를 해본 경험이 있다면 기술해 주세요. 공통 기능을 스스로 도출해서 만들어 보신 경험도 있는지 궁금해요.
- 서버를 개발하다 보면 빠질 수 없는 모니터링과 알림 어떻게 하셨나요? 불편한 점은 없었나요? 관련된 경험들이 있으면 기술해 주세요.
토스증권이 사용하는 기술
- Java, Kotlin, Spring Framework, JPA/Hibernate, Netty
- MySQL, Oracle, Redis, MongoDB, Kafka, Elasticsearch, InfluxDB, Grafana
토스증권으로의 합류 여정
- 서류접수 > 직무 인터뷰 > 문화적합성 인터뷰 > 레퍼런스 체크 > 처우협의 > 최종합격 및 입사
꼭 확인해 주세요
- 이력서 및 제출 서류에 허위 사실이 발견되거나 근무 이력 중 징계사항이 확인될 경우, 채용이 취소될 수 있어요.
- 토스증권 내규에 따라 채용 금지자 또는 결격사유 해당자는 채용이 취소될 수 있어요.
- Server Developer(Platform) 포지션으로 합격하면 플랫폼팀에 우선적으로 배치돼요. 다만 회사의 우선순위와 입사예정자 분의 역량의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다른 조직으로의 배치를 제안드릴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려요.
함께할 동료를 위한 한마디
지원하러 가기“현재 서버 플랫폼 팀은 토스증권 내부 개발자의 개발환경과 경험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 토스증권에 합류한 지 5개월 정도 되었는데,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성장을 할 수 있었어요. 개발 속도를 높이면서도, 보안면이나 서비스 장애에 해를 끼치지 않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저희 팀에는 항상 서비스에 대한 고민과 성장을 위해 노력하시는 분들이 모여있어요. 그만큼 저에게 성장 기회를 많이 주는 것 같아요. 이런 분위기에서 자유로운 의견과 토론을 하면서 개발하고 싶은 분들이 오시면 좋을 것 같아요.
토스증권 소속
정규직
합류하게 될 팀에 대해 알려드려요
- Server Developer (Platform)는 서버 플랫폼팀과 시세팀에 속해 업무해요.
- 토스는 보통 작은 feature 단위의 사일로 조직으로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들이 소규모로 모여 서비스 제품이 만들어지는데요, 서버 플랫폼팀은 이런 사일로 조직들에서 필요로 하는 공통 기능들,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팀이에요. 서버 플랫폼팀의 올해 목표는 증권 서비스들이 더 쉽고 빠르게 런칭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요, 앞으로도 많은 서비스들을 확장해 나가려고 해요.
- 시세팀은 국내주식과 해외주식의 시세 제공과 대외접속(FEP) 등 증권서비스에 필요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팀입니다. 시세팀의 올해 목표는 최적화된 초고효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인데요. 앞으로 토스증권의 개발자가 가장 오고 싶어하는 팀이 되어보려 해요.
- 두 팀은 사일로 조직과는 다르게 기획자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팀에 소속된 엔지니어들이 곧 기획자이자 개발자인데요, 어떤 기능들이 필요할지 직접 고민하고 의견을 수집해서 방향성을 정하고 만들어 나가고 있어요.
합류하면 함께할 업무예요
- 다른 개발자들이 불편한 것들을 모아서 공통화하고, 요구사항을 모아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여러 영역에 걸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 토스 증권에서는 서버 개발 환경으로 Java/Kotlin, Spring Framework를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따라서 관련된 작업들을 많이 하게 되는데요,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개발 방식 중에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을 찾아 선택하고 공통화시키는 작업을 해요.
- 또한, 전체적인 관점에서 좋은 아키텍처에 대한 고민을 하고 개선해 나가는 작업을 하는데요. 배포하기 쉬운 구조, 운영하기 쉬운 구조, 안정성을 위한 구조, 성능 개선을 위한 구조에 대해서 고민하고 실행에 옮겨요.
이런 분과 함께하고 싶어요
- Java/Kotlin, Spring Framework에 능숙하신 분이면 좋아요.
- Redis, Kafka, ELK 스택 운영경험까지 있으면 더 좋아요.
- Spring Framework, Tomcat, JVM, OS, 네트워크, 인프라 등 다양한 레이어에서의 트러블 슈팅 경험, 그를 위한 모니터링과 나아가서 성능 튜닝 경험도 가지고 있다면 더 좋아요.
- 실시간 데이터 처리,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는 분이면 더 좋아요.
-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서비스와 인프라 환경을 꾸준히 발전시키려는 분과 함께 하고 싶어요.
이력서는 이렇게 작성하시는 걸 추천해요
- 경험들을 단순히 나열하기 보다는 경험 속에서 얻은 배움들을 확인하고 싶어요. 특히 서비스장애 경험이나 어려웠던 일들에 대해서 더 듣고 싶은데요, 어떻게 해결하고 어떤 배움을 얻었는지 알려주시면 좋아요.
- 플랫폼적인 업무(공통 서비스, 공통 라이브러리 등)를 해본 경험이 있다면 기술해 주세요. 공통 기능을 스스로 도출해서 만들어 보신 경험도 있는지 궁금해요.
- 서버를 개발하다 보면 빠질 수 없는 모니터링과 알림 어떻게 하셨나요? 불편한 점은 없었나요? 관련된 경험들이 있으면 기술해 주세요.
토스증권이 사용하는 기술
- Java, Kotlin, Spring Framework, JPA/Hibernate, Netty
- MySQL, Oracle, Redis, MongoDB, Kafka, Elasticsearch, InfluxDB, Grafana
토스증권으로의 합류 여정
- 서류접수 > 직무 인터뷰 > 문화적합성 인터뷰 > 레퍼런스 체크 > 처우협의 > 최종합격 및 입사
꼭 확인해 주세요
- 이력서 및 제출 서류에 허위 사실이 발견되거나 근무 이력 중 징계사항이 확인될 경우, 채용이 취소될 수 있어요.
- 토스증권 내규에 따라 채용 금지자 또는 결격사유 해당자는 채용이 취소될 수 있어요.
- Server Developer(Platform) 포지션으로 합격하면 플랫폼팀에 우선적으로 배치돼요. 다만 회사의 우선순위와 입사예정자 분의 역량의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다른 조직으로의 배치를 제안드릴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려요.
함께할 동료를 위한 한마디
지원하러 가기“현재 서버 플랫폼 팀은 토스증권 내부 개발자의 개발환경과 경험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 토스증권에 합류한 지 5개월 정도 되었는데,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성장을 할 수 있었어요. 개발 속도를 높이면서도, 보안면이나 서비스 장애에 해를 끼치지 않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저희 팀에는 항상 서비스에 대한 고민과 성장을 위해 노력하시는 분들이 모여있어요. 그만큼 저에게 성장 기회를 많이 주는 것 같아요. 이런 분위기에서 자유로운 의견과 토론을 하면서 개발하고 싶은 분들이 오시면 좋을 것 같아요.
❤️ 오늘 핫한 채용공고
제목 | 작성일 |
---|---|
PM, 서비스 기획 직무의 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중요한 것 (1)
|
2023.09.29 |
스타트업은 채용 종료 되더라도 이메일로 이력서 보내보세요
|
2023.10.01 |
요즘 핫한 풀스텍 마케터
|
2023.09.26 |
면접에서 '친구들 사이에서의 역할'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답변법
|
2023.09.27 |
포트폴리오 정리 주기 (2)
|
2023.09.30 |
기업 사정으로 조기 마감되거나 내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